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독서:테크니컬_리더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양쪽 다음 판
독서:테크니컬_리더 [2024/04/19 08:37]
kwon37xi
독서:테크니컬_리더 [2024/04/19 08:47]
kwon37xi
줄 12: 줄 12:
 > (이 책의) 주제란 바로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그리고 '자신의 생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이다. p.26 > (이 책의) 주제란 바로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그리고 '자신의 생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이다. p.26
  
 +> 투표는 일관성 있는 방법이다. 보통 의견이 분분한 경우에는 의견일치 방법에 의한 결정보다 더 낫다. 리더가 가진 지식이 부족하거나, 지식은 적당한 수준이지만 다른 팀원이 가진 정보를 이용할 수 없거나 이용하고 싶지 않은 경우라면 강력한 리더 방식보다 더훌륭하다. 반면에 팀이 평균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다면 거의 항상 다른 방법보다 더 나쁜 결정을 내리게 된다.
 +> 투표의 또 다른 문제점은 정보가 한 팀원에게서 다른 팀원으로 흐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결정 과정이 끝난 후에도 사람들의 지식은 이전과 같거나 더 부족한 상태일 것이다. 결정 과정이 참가자들에게 교육적 의미까지 부여하려면, 투표는 좋은 방법이 아니다. p.278
 +
 +> 강력한 리더 구조는 리더의 스타일에 따라서 참가자들이 이전에 몰랐던 것 이상을 알게 될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의 질은 리더의 스타일과 알고 있는 지식을 어떻게 조합하는지에 달려 있다. 리더가 고집이 세서 자신의 의견을 바꿀 생각이 없다면, 팀에서 가장 지식이 많은 사람이 리더인 경우에는 성공적인 결정을 할 수 있지만, 아는 것이 가장 적은 사람이라면 최악의 실패를 경험하기도 한다. p.279
 +
 +> 그다지 고집이 세지 않은 리더라면 팀원들의 정보로투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대개 의견 일치 방식과 유사한 점수 패턴을 보여주었고, 투표 방식보다 꾸준히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p.279
 +
 +> 문제 해결형 리더들은 의견 일치 방법을 선호하는데, 이 방법을 사용하려면 훌륭한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결정을 하려면 참가자들이 다음과 같은 지침을 따라야 한다.
 +>> * 자신의 의견을 단지 자신의 의견이라는 이유로 주장하는 일을 피하도록 한다. 대신, 논리와 사실을 통해서 그 주장을 뒷받침하려고 노력한다.
 +>> * 단순히 갈등을 회피하려고 의견을 바꾸지 말자. 다른 사람들이 사실과 논리를 제시하도록 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자신의 의견을 바꾸도록 한다.
 +>> * 투표, 평균, 거래 등과 같이 갈등을 줄이는 방법을 피한다. 아무리 사소하게 보이더라도 사실을 이용한다.
 +>> * 사실과 논리에 근거한 것이라면 의견 차이는 훌륭한 결정에 도움이 된다고 받아들인다.
 +>> * 예의 바르게 보이려고 조용히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 필요하다면 직관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그럴 때에는 그 사실을 분명하게 해야한다. 직관도 타당한 사실이지만 논쟁을 키울 수도 있다.
 +> 조직이 의견 일치를 통해 일하는 방식을 배우면 매우 훌륭한 결과를 만들 수 있다. p.279
 +
 +> 실제로는 의견 일치를 이룬 것이 아니고, 단지 제 시간에 끝내기 위한 논쟁, 거래, 포기 같은 것들이 넘쳐난다. 그런 상황이라면 낮은 점수를 얻는 것이 당연하다. p.281
 +
 +> 의견 일치 방법의 잠재적 장점 중 하나는 정보를 공유한다는 것이다. 서로 나누는 이야기를 모든 사람이 들을 수 있고, 그 이야기에 대해 질문할 수 있다. p.281
 +
 +> 의견 일치 방법을 사용하는 팀은 처음에는 결정이 느릴 수도 있지만, 팀원들이 서로를 알게 된 후에는 엄청나게 빠른 팀이 된다. ...
 +> 책임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p.281
 > 중요한 것은 가장 좋은 방법을 깨닫는 것이 아니라, 현재 상황에 가장 좋은 방법을 깨닫는 것이다. 상황이 바뀌면 조직은 변화해야 한다. 언제나 최고인 조직은 존재하지 않으며, 아주 오랫동안 최고 상태를 유지하는 조직도 거의 없다. 가장 훌륭한 리더는 환경이 바뀌었을 때 팀이 재조직하도록 도움을 주고,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조직화 방법을 찾는 사람이다. p.285 > 중요한 것은 가장 좋은 방법을 깨닫는 것이 아니라, 현재 상황에 가장 좋은 방법을 깨닫는 것이다. 상황이 바뀌면 조직은 변화해야 한다. 언제나 최고인 조직은 존재하지 않으며, 아주 오랫동안 최고 상태를 유지하는 조직도 거의 없다. 가장 훌륭한 리더는 환경이 바뀌었을 때 팀이 재조직하도록 도움을 주고,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조직화 방법을 찾는 사람이다. p.285
  
독서/테크니컬_리더.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5/07 12:14 저자 kwon37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