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ci:jenkins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 양쪽 다음 판
ci:jenkins [2019/02/26 19:46]
kwon37xi
ci:jenkins [2019/02/26 19:47]
kwon37xi
줄 80: 줄 80:
 ==== Clone Workspace SCM Plugin ==== ==== Clone Workspace SCM Plugin ====
   * [[https://wiki.jenkins-ci.org/display/JENKINS/Clone+Workspace+SCM+Plugin|Clone Workspace SCM Plugin - Jenkins]]   * [[https://wiki.jenkins-ci.org/display/JENKINS/Clone+Workspace+SCM+Plugin|Clone Workspace SCM Plugin - Jenkins]]
-  * 클론 대상(부모) 빌드의 **Post Build Action**에서 **Archive for Clone Workspace SCM**을 등록하고 대상 파일은 ''**'' 정도로 주면 된다.+  * 클론 대상(부모) 빌드의 **Post Build Action**에서 **Archive for Clone Workspace SCM**을 등록하고 대상 파일은 %%**%% 정도로 주면 된다.
  
  
줄 109: 줄 109:
   * Execute Shell 등의 결과로 나온 파라미터 값을 가지고 다른 Parameterized Build를 호출하려면 해당 key=value 값을 Java Properties 파일 형식으로 셸에서 생성해 둬야 한다.   * Execute Shell 등의 결과로 나온 파라미터 값을 가지고 다른 Parameterized Build를 호출하려면 해당 key=value 값을 Java Properties 파일 형식으로 셸에서 생성해 둬야 한다.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0110876/passing-variable-from-shell-script-to-jenkins|Passing variable from shell script to jenkins - Stack Overflow]]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0110876/passing-variable-from-shell-script-to-jenkins|Passing variable from shell script to jenkins - Stack Overflow]]
- 
  
 <code sh> <code sh>
줄 116: 줄 115:
  
   * 그리고서, 해당 파일 ''env.properties'' 를 빌드 후 조치 -> Trigger parameterized build on other projects 에서 Parameters from properties file 에 지정해준다.   * 그리고서, 해당 파일 ''env.properties'' 를 빌드 후 조치 -> Trigger parameterized build on other projects 에서 Parameters from properties file 에 지정해준다.
 +  * 만약, Jenkins 자체에 미리 지정된 환경 변수를 파라미터로 넘기려면 **Predefined Parameters** 로 충분하다.
 ==== Process Kill ==== ==== Process Kill ====
   * Jenkins Build에서 tomcat등을 실행해 띄워 두려고 하면 자꾸 프로세스가 죽는다.   * Jenkins Build에서 tomcat등을 실행해 띄워 두려고 하면 자꾸 프로세스가 죽는다.
ci/jenkins.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2/11/17 11:44 저자 kwon37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