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devops:vagrant [2024/01/03 09:38] kwon37xi [libvirt] |
devops:vagrant [2025/01/07 14:05] (현재) kwon37xi |
||
---|---|---|---|
줄 1: | 줄 1: | ||
====== Vagrant ====== | ====== Vagrant ====== | ||
* http:// | * http:// | ||
+ | * [[https:// | ||
* [[http:// | * [[http:// | ||
* 개발 서버 환경 구축하기 | * 개발 서버 환경 구축하기 | ||
줄 13: | 줄 14: | ||
* 기본 Provider 지정. Default 설정을 해두면 '' | * 기본 Provider 지정. Default 설정을 해두면 '' | ||
export VAGRANT_DEFAULT_PROVIDER=virtualbox | export VAGRANT_DEFAULT_PROVIDER=virtualbox | ||
+ | </ | ||
+ | |||
+ | ===== 기본 provider 지정 ===== | ||
+ | * '' | ||
+ | < | ||
+ | export VAGRANT_DEFAULT_PROVIDER=libvirt | ||
+ | </ | ||
+ | * 실행 시점마다 지정 | ||
+ | |||
+ | < | ||
+ | vagrant up --provider=libvirt | ||
</ | </ | ||
===== libvirt ===== | ===== libvirt ===== | ||
* [[: | * [[: | ||
+ | * [[https:// | ||
* [[https:// | * [[https:// | ||
* [[https:// | * [[https:// | ||
줄 22: | 줄 35: | ||
* Linux 상에서 | * Linux 상에서 | ||
- | ==== 기본 provider 로 지정 ==== | ||
- | * '' | ||
- | < | ||
- | export VAGRANT_DEFAULT_PROVIDER=libvirt | ||
- | </ | ||
==== Ubuntu 에 설치하기 ==== | ==== Ubuntu 에 설치하기 ==== | ||
줄 33: | 줄 41: | ||
vagrant plugin install vagrant-libvirt | vagrant plugin install vagrant-libvirt | ||
</ | </ | ||
+ | * Ubuntu 용 '' | ||
==== Arch Linux 에 설치 ==== | ==== Arch Linux 에 설치 ==== | ||
* [[linux: | * [[linu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