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gradle:java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 양쪽 다음 판
gradle:java [2022/06/30 16:21]
kwon37xi [테스트 실행]
gradle:java [2022/06/30 16:25]
kwon37xi [Test 완료후에 실패건이 있는지 마킹만 하기]
줄 611: 줄 611:
 } }
 </code> </code>
 +
 +==== Test 완료후에 실패건이 있는지 마킹만 하기 ====
 +  * ''ignoreFailures=true''로 두고 테스트를 진행하고 빌드를 완료하지만, 실패건이 있는지 여부를 나중에 알고자 할 때
 +  * [[git:gitlab|Gitlab]] CI 등에서 실패건이 있어도 후속 작업은 진행하기 위해서 만듬.
 +<code groovy>
 +test {
 +    ignoreFailures = true
 +    afterSuite { TestDescriptor desc, TestResult result ->
 +        if (result.failedTestCount > 0) {
 +            rootProject.buildDir.mkdir()
 +            File testFailed = rootProject.file("${rootProject.buildDir}/testFailedMarker")
 +            if (!testFailed.exists()) {
 +                testFailed.createNewFile()
 +                testFailed.text = "이 파일이 존재하면 테스트중 실패한 건이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
 +            }
 +            logger.warn("testFailedMarker - {}", result.failedTestCount)
 +        }
 +    }
 +}
 +</code>
 +  * 다른 stage 에서 ''<project-root>/build/testFailedMarker'' 파일의 존재여부를 체크해서 존재하면 테스트 실패로 간주한다.
 ===== Jar ===== ===== Jar =====
   * [[http://gradle.org/docs/current/dsl/org.gradle.api.tasks.bundling.Jar.html|jar]] 태스크는 프로젝트의 클래스와 리소스를 포함하는 JAR 파일을 생성한다.   * [[http://gradle.org/docs/current/dsl/org.gradle.api.tasks.bundling.Jar.html|jar]] 태스크는 프로젝트의 클래스와 리소스를 포함하는 JAR 파일을 생성한다.
gradle/java.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2/06/30 16:36 저자 kwon37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