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web:신규서비스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양쪽 다음 판
web:신규서비스 [2019/03/30 19:15]
kwon37xi [최적화]
web:신규서비스 [2019/03/31 13:49]
kwon37xi [Database / 저장소]
줄 160: 줄 160:
     * 필요한 쿼리는 항상 상황별로 다 따로 만든다.     * 필요한 쿼리는 항상 상황별로 다 따로 만든다.
   * Backup/Fail Over 전략을 수립해둔다. : DB 생성 초기 부터 백업/복구/FailOver 전략을 각 DB에 맞게 수립해둬야 한다.   * Backup/Fail Over 전략을 수립해둔다. : DB 생성 초기 부터 백업/복구/FailOver 전략을 각 DB에 맞게 수립해둬야 한다.
-  * 페이징으로 데이터를 연속 조회 할 경우에는 항상 **더보기 방식**을 사용한다. API 설계 부분 참조.+  * 페이징으로 데이터를 불한/연속 조회 할 경우에는 항상 **더보기 방식**을 사용한다. API 설계 부분 참조
 +    * ''offset/limit'' 조회는 ''offset''이 뒤로 갈수록 성능이 계단형으로 느려지게 된다. ''offset''을 계산하려면 그보다 앞에 있는 데이터들의 조건을 모두 검사해야하기 때문이다. 
 +    * 처리처럼 데이터를 분할해서 가져갈 경우 항상 ''order by PK asc''를 해줘서 페이징의 순서를 명확히 해줘야한다. 
 +    * 그리고 **PK asc**를 하는게 DB에서 가장 성능이 좋을 것이다. 
 +    * offset/limit 방식(페이징)이 아니라 **''nextPk,limit''**을 조회 조건으로 거는 더보기 방식을 사용해야 성능저하 없이 균일한 응답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징 솔루션 ===== =====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메시징 솔루션 =====
   * Email, SMS, Mobile Push 등의 Messaging은 초반에는 적을 수 있으나 서비스의 증가에 따라 시스템의 부하 요소가 될 수 있다.   * Email, SMS, Mobile Push 등의 Messaging은 초반에는 적을 수 있으나 서비스의 증가에 따라 시스템의 부하 요소가 될 수 있다.
web/신규서비스.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08 11:26 저자 kwon37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