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web:신규서비스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 양쪽 다음 판
web:신규서비스 [2020/07/06 15:59]
kwon37xi [API Gateway]
web:신규서비스 [2020/11/05 14:48]
kwon37xi [Load Balancer 설정 확인]
줄 245: 줄 245:
   * 회사 규모가 작을 때는 상관없지만 커지면 Github 같은 외부 노출된 저장소 사용시 Key 노출로 인한 보안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내망에서만 접속 가능한 Source Code Repository를 구축한다.   * 회사 규모가 작을 때는 상관없지만 커지면 Github 같은 외부 노출된 저장소 사용시 Key 노출로 인한 보안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내망에서만 접속 가능한 Source Code Repository를 구축한다.
   * 코드에서 Validation, 돈 등의 계산은 항상 요청을 받는 서버에서 해야한다. 브라우저등의 클라이언트측 Validation은 단순히 고객 편의를 위해서일 뿐이며, 최종 검사는 항상 서버에서 이뤄져야 한다. Client의 요청은 언제든지 조작 가능하다.   * 코드에서 Validation, 돈 등의 계산은 항상 요청을 받는 서버에서 해야한다. 브라우저등의 클라이언트측 Validation은 단순히 고객 편의를 위해서일 뿐이며, 최종 검사는 항상 서버에서 이뤄져야 한다. Client의 요청은 언제든지 조작 가능하다.
 +  * 요즘엔 다중 기기에서 로그인 유지 상태로 지속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사용자의 계정 해킹등이 발생하거나 혹은 기타 다른이유로 해당 사용자로 인증된 모든 기기의 인증을 해제시킬 수 있어야 한다.
 ===== 서버 운영 ===== ===== 서버 운영 =====
   * 절대로 여러 사람이 공유하는 공용 계정으로 서버를 관리하지 말라(AWS 등 포함). 이는 치명적인 보안 사고로 이어진다.   * 절대로 여러 사람이 공유하는 공용 계정으로 서버를 관리하지 말라(AWS 등 포함). 이는 치명적인 보안 사고로 이어진다.
줄 260: 줄 261:
   * 개발팀에서 제어할 수 없는 외부 연동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정보(특히 API 접속 주소라든가) 등은 [[https://cloud.spring.io/spring-cloud-config/reference/html/|Spring Cloud Config]] 등을 사용하여, 설정 변경을 재배포없이 즉시 적용 가능하게 하는게 좋다.   * 개발팀에서 제어할 수 없는 외부 연동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정보(특히 API 접속 주소라든가) 등은 [[https://cloud.spring.io/spring-cloud-config/reference/html/|Spring Cloud Config]] 등을 사용하여, 설정 변경을 재배포없이 즉시 적용 가능하게 하는게 좋다.
   * 제어 불가능한 외부 환경의 경우 어떤일이 일어날지 알 수없고, 대응이 언제 될지등도 알 수 없다(예, 갑자기 외부 시스템 운영자의 실수로 API 서버 IP 주소가 바뀌어버렸다).   * 제어 불가능한 외부 환경의 경우 어떤일이 일어날지 알 수없고, 대응이 언제 될지등도 알 수 없다(예, 갑자기 외부 시스템 운영자의 실수로 API 서버 IP 주소가 바뀌어버렸다).
 +  * [[springframework:springboot|SpringBoot]] 처럼 자동 설정이 많고, 업그레이드시 자동 설정값이 바뀌는 경우가 있는 프레임워크 사용시에, 원하는대로 설정이 된 상태로 실서비스가 실행되는지 검증하는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를 작성해두는 것이 버전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다.
 ===== 서버 모니터링 ===== ===== 서버 모니터링 =====
   * [[:monitoring|서버 모니터링 툴]]을 통해 초반부터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 [[:monitoring|서버 모니터링 툴]]을 통해 초반부터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줄 299: 줄 301:
   * Load Balancer가 중간에서 설정에 의해 커넥션의 유효성 여부를 체크하고 유효하지 않을 경우, 혹은 장시간 미사용일 경우 강제로 끊어버릴 수 있는데 그 설정값이 Connection Pool의 설정과 매칭이 안되면 의도치 않은 순간에 접속이 끊길 수 있다.   * Load Balancer가 중간에서 설정에 의해 커넥션의 유효성 여부를 체크하고 유효하지 않을 경우, 혹은 장시간 미사용일 경우 강제로 끊어버릴 수 있는데 그 설정값이 Connection Pool의 설정과 매칭이 안되면 의도치 않은 순간에 접속이 끊길 수 있다.
   * 가장 손쉬운 확인 방법은 Load Balancer 없이 직접 커넥션을 맺고서도 동일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해 본다.   * 가장 손쉬운 확인 방법은 Load Balancer 없이 직접 커넥션을 맺고서도 동일 문제가 발생하는지 확인해 본다.
 +  * Load Balancer 가 각 인스턴스를 활성화시키는 health check URL은 해당 인스턴스의 애플리케이션이 완전히 초기화가 완료된 뒤에 true 를 반환하게 해야한다.
 +    * 그렇지 않으면 요청이 너무 일찍들어와서 일찍 들어온 요청들은 모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    * Spring MVC 등을 사용히 health check url 용 컨트롤러를 만들어서 해당 컨트롤러는 Spring 의 필수 bean 들이 모두 초기화 되고, DB 커넥션풀 등도 맺어진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PostConstruct''로 초기화??)
  
 ===== API 설계 ===== ===== API 설계 =====
web/신규서비스.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4/03/08 11:26 저자 kwon37x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