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사이트 도구


windows:free_vm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 양쪽 다음 판
windows:free_vm [2019/08/14 14:39]
kwon37xi
windows:free_vm [2020/07/20 22:36]
kwon37xi
줄 5: 줄 5:
 ===== IE 버전별 테스트 가상 머신 ===== ===== IE 버전별 테스트 가상 머신 =====
   * [[https://developer.microsoft.com/en-us/microsoft-edge/tools/vms/|IE 각 버전별 테스트 가상머신]]   * [[https://developer.microsoft.com/en-us/microsoft-edge/tools/vms/|IE 각 버전별 테스트 가상머신]]
 +    * 사용자 비번은 ''Passw0rd!''
   * VirtualBox 용 가상머신을 다운로드하여 ''ova'' 파일을 VirtualBox 에서 Import 해서 사용한다.   * VirtualBox 용 가상머신을 다운로드하여 ''ova'' 파일을 VirtualBox 에서 Import 해서 사용한다.
 +  * 최초 설정을 저장해서 activation 없이 재활용하고자 한다면 초기 설정을 할 때는 netowrk 을 꺼둔 상태로 해야한다.
 +    * Guest Windows의 네트워크를 끈다.
 +    * Host 와 공유 폴더를 설정하고, Host 에서 필요한 파일을 공유 폴더에 넣으면,
 +    * Guest Windows 에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혹은 기타 변형을 가한다.
 +    * 최종본이 완성되면 OVA 로 내보내기 하거나 혹은 Snapshot 을 저장한다.
 +    * 이제 네트워크를 켜주면 자동으로 라이센스가 90일간 유지되게 된다.
   * 사용시, Timezone, input method, language, location 등을 변경해주어야 한다.   * 사용시, Timezone, input method, language, location 등을 변경해주어야 한다.
   * 사용을 위한 기초 준비가 끝나면 가상 머신 Disk(''*.vmdk'') 파일을 복제해 둔 뒤에 Activation을 한다. Activation이 풀리면 복제해둔 것을 복사하여 다시 활성화한다.   * 사용을 위한 기초 준비가 끝나면 가상 머신 Disk(''*.vmdk'') 파일을 복제해 둔 뒤에 Activation을 한다. Activation이 풀리면 복제해둔 것을 복사하여 다시 활성화한다.
줄 11: 줄 18:
   * [[https://bluegg.co.uk/writing/testing-ie-in-a-virtualbox-in-a-vagrant-in-a-mac-in-a-bluegg|Testing IE, in a VirtualBox, in a Vagrant, in a Mac, in a Bluegg | Bluegg]]   * [[https://bluegg.co.uk/writing/testing-ie-in-a-virtualbox-in-a-vagrant-in-a-mac-in-a-bluegg|Testing IE, in a VirtualBox, in a Vagrant, in a Mac, in a Bluegg | Bluegg]]
   * [[https://gist.github.com/anthonysterling/7cb85670b36821122a4a| Handy Vagrantfile for IE testing with Vagrant.]]   * [[https://gist.github.com/anthonysterling/7cb85670b36821122a4a| Handy Vagrantfile for IE testing with Vagrant.]]
 +
 +===== 언어팩 설치 =====
 +  * ''lpksetup'' 명령
 +  * [[https://oldnew.tistory.com/501|윈도우 10 언어팩 - Windows 10 October 2018 Update(1809 RS5) 17763.1 All Languages packs]]
 +
 +> https://pastebin.com/raw/AvaJ2xWN
 +> x64 | https://www.dropbox.com/sh/0p4cvkojtv9bre2/AABwYNxB5RhvzXyfyLxqIudwa?dl=0
 +> x86 | https://www.dropbox.com/sh/37dogn3mcye0wqq/AACsxfMd88EQhJQCb-Jt94vYa?dl=0
 +> https://mega.nz/#F!CqhTTSYZ!T0ve-3jkaCU-kydesuKGfw
 +
 +
 +==== 한국어 설정 ====
 +  * 영문 Windows 에 한국어 언어 팩을 설치해도 비 유니코드 애플리케이션은 여전히 한글이 깨짐.
 +  *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cj8390&logNo=220714617155&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
 +  * Win10 에서는 **제어판 → 국가 또는 지역 → 시스템 로캘 변경 → 국가설정** : **한국어(대한민국)** 으로 지정
 +    * 영문 - Control Panel -> Region -> Administrative -> Change System locale : Korean 으로 변경
  
  
windows/free_vm.txt · 마지막으로 수정됨: 2023/03/06 13:39 저자 kwon37xi